FC 토르페도 모스크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토르페도 모스크바는 1924년 창단된 러시아의 축구 클럽이다. 소련 시절 3번의 리그 우승과 7번의 컵 대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1960년대 에두아르드 스트렐초프를 비롯한 스타 선수들을 배출했다. 1990년대 중반 구단 소유권 변경과 함께 토르페도-루즈니키로 잠시 명칭을 변경하기도 했다. 2000년대 이후 재정난으로 하위 리그를 전전하다가 2022년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했으나, 한 시즌 만에 다시 강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 루즈니키 스타디움
루즈니키 스타디움은 러시아 모스크바에 위치한 국립 경기장으로, 과거 레닌 중앙 경기장으로 불렸으며 올림픽, UEFA컵,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FIFA 월드컵 등 주요 스포츠 행사를 개최한 곳이다. -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 마크 코스타
마크 코스타는 1996년생 헝가리 축구 선수이며, 2022년 FC 토르페도 모스크바와 계약 후 마카비 브네이 레이네에서 임대 선수로 활동했으며, 2024년 볼로스 FC에 합류했다.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구단 - PFC CSKA 모스크바
PFC CSKA 모스크바는 1911년 창단된 러시아 모스크바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소련 및 러시아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으며 2004-05 시즌 UEFA컵 우승을 포함한 국내외 대회 우승과 UEFA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이후 제재를 받고 있다. -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구단 - FC 로스토프
FC 로스토프는 1930년에 창단된 러시아의 축구 클럽으로,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와 러시아 컵, UEFA 챔피언스리그 등에 참가했으며, 2014년 러시아 컵에서 우승하고 2015-16 시즌 프리미어리그 2위를 기록했다. - 1930년 설립된 축구단 - FC 로스토프
FC 로스토프는 1930년에 창단된 러시아의 축구 클럽으로,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와 러시아 컵, UEFA 챔피언스리그 등에 참가했으며, 2014년 러시아 컵에서 우승하고 2015-16 시즌 프리미어리그 2위를 기록했다. - 1930년 설립된 축구단 - 상파울루 FC
상파울루 FC는 1930년 창단된 브라질 상파울루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국내외 주요 대회에서 다수 우승을 차지한 명문 클럽이며, 특히 1990년대 텔레 산타나 감독 체제 하에 전성기를 누렸다.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클럽 이름 | 토르페도 모스크바 |
별칭 | 흑백 () 자동차 공장 노동자 () |
전체 이름 | 토르페도 모스크바 축구 클럽 |
창단 | 1924년 8월 17일 |
회장 | 공석 |
감독 | 올레크 코노노프 |
리그 | 러시아 퍼스트 리그 |
시즌 | 2023-24 |
순위 | 18개 팀 중 10위 |
현재 시즌 | 2024-25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시즌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경기장 | |
홈 경기장 | 루즈니키 스타디움 |
보조 경기장 | 아레나 힘키 |
수용 인원 | 81,000명 |
유니폼 | |
홈 유니폼 | 상의: 흰색 하의: 검은색 양말: 흰색 |
원정 유니폼 | 상의: (정보 없음) 하의: (정보 없음) 양말: (정보 없음) |
세 번째 유니폼 | 상의: (정보 없음) 하의: (정보 없음) 양말: (정보 없음) |
과거 정보 | |
홈 경기장 | 에두아르트 스트렐초프 스타디움 (과거) |
수용 인원 | 13,400명 (과거) |
이전 감독 | 알렉산드르 보로듀크 |
이전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
이전 시즌 | 2021-22 |
이전 순위 | 1위 (승격) |
2. 역사
FC 토르페도 모스크바는 1924년 프롤레타르스카야 쿠즈니차 팀을 기반으로 창단되었다. 1936년까지 모스크바 리그에서 활동하다 소련 'B' 리그의 창립 멤버가 되면서 '''토르페도 모스크바'''로 이름을 변경했고, 1938년 'A' 리그로 승격되었다.[3] 1949년에는 소련컵에서 우승하며 첫 프로 타이틀을 획득했다.
1957년, 토르페도 모스크바는 "토르페도"라는 이름의 다른 소련 스포츠 클럽들과 함께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VSS ''트루드''의 일원이 되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러시아의 펠레"로 알려진 에두아르드 스트렐초프를 중심으로 1960년 톱 리그와 소련컵을 모두 차지하며 더블을 달성하는 등 전성기를 누렸다.
1980년대와 90년대 초, 토르페도는 소련/러시아컵 결승에 6번 진출하여 1985-86 소련컵과 1992-93 러시아컵을 우승했고, 1983년부터 1991년까지 7/8번 상위 6위 안에 들었다.
1990년대 중반, 모기업 ZIL 자동차 공장의 경영난과 갈등으로 인해 루즈니키 기업으로 소유권이 이전되면서 1996년부터 1998년까지 '''토르페도-루즈니키'''로 불리기도 했다.
1996년 ZIL은 토르페도 모스크바를 매각한 후 토르페도-ZIL (1997)을, 2003년에는 토르페도-ZIL (2003)을 창단했다. 1996년부터 2009년까지 SC 루즈니키 소유 하에 있던 토르페도는 2009년 초 ZIL에 다시 매각되었다.[3]
2012-13 시즌, 토르페도는 간신히 2부 리그 강등을 면했다. 2013년 알렉산드르 보로듀크 감독 체제에서 2013-14 시즌 3위를 차지, 승격 플레이오프를 통해 8년 만에 프리미어 리그에 복귀했다. 그러나 2014-15 시즌 최하위권으로 강등되었고, 자금 부족으로 2015-16 시즌에는 3부 리그로 내려갔다.
2017년, 로만 아브데예프가 토르페도의 새로운 소유주가 되었다. 2018-19 시즌 2부 리그 승격, 2021-22 러시아 축구 내셔널 리그 우승을 통해 2022년 5월 21일, 16년 만에 프리미어 리그 복귀를 확정지었으나,[5] 한 시즌 만에 다시 강등되었다.[1]
토르페도 팬들은 스파르타크 팬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으며, 로코모티브, CSKA, 디나모,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라이벌 관계이다. 일부 팬들의 극우 상징 및 현수막 (예: 켈트 십자가, 스와스티카) 사용은 여러 차례 언론에 부정적으로 보도되었다.[6][7]
1960년 9월 2일, 소련 모스크바에서 열린 일본 국가대표팀과의 첫 경기에서 토르페도 모스크바가 8-0으로 완승했다.
2. 1. 클럽 역사
FC 토르페도 모스크바는 1924년 '프롤레타르스카야 쿠즈니차' 팀을 기반으로 창단되었다. 초기에는 모스크바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1936년 소련 B 리그 창립 멤버가 되면서 '''토르페도 모스크바'''로 이름을 바꾸었고, 1938년에는 소련 톱 리그로 승격했다.클럽의 소유 및 명칭 변화는 다음과 같다.
기간 | 명칭 | 소유 |
---|---|---|
1930년–1932년 | AMO | Avtomobilnoe Moskovskoe Obshchestvo (AMO) |
1933년–1936년 | ZIS | Zavod Imeni Stalina (ZIS) |
1936년–1996년 7월 | 토르페도 모스크바 | |
1996년 8월–1998년 | 토르페도-루즈니키 | 루즈니키 |
1998년–현재 | 토르페도 모스크바 |
1949년, 토르페도는 소련 컵에서 우승하며 첫 프로 타이틀을 획득했다. 1957년에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VSS 트루드의 일원이 되었다. 1960년대에는 "러시아의 펠레"라고 불린 에두아르드 스트렐초프 등의 활약으로 1960년 소련 톱 리그와 소련 컵에서 모두 우승하며 더블을 달성하는 등 전성기를 누렸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초, 토르페도는 소련/러시아 컵 결승에 6번 진출하여 1985-86 소련컵과 1992-93 러시아컵에서 우승했다. 1990년대 중반, 모기업인 ZIL 자동차 공장의 경영난과 갈등으로 인해 루즈니키 기업으로 소유권이 이전되면서, 1996년부터 1998년까지는 '''토르페도-루즈니키'''로 불리기도 했다.
1996년, ZIL은 토르페도 모스크바를 매각한 후 새로운 팀인 토르페도-ZIL (1997)을 창단했다. 이 팀은 2000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 진출했으나, 2003년 MMC 노릴스크 니켈에 매각되어 FC 모스크바로 재출범했다. FC 모스크바는 2010년에 해체되었다. ZIL은 2003년에 또 다른 팀인 토르페도-ZIL (2003)을 창단했으나, 이 팀 역시 2011년에 해체되었다.
2000년대 들어 토르페도 모스크바는 1999년부터 2002년까지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상위권을 기록하며 선전했지만, 2006년에는 15위로 강등되었다. 2008년에는 재정 문제로 인해 4부 리그까지 강등되기도 했다. 2009년, 토르페도는 아마추어 축구 리그에서 활동하며 재기를 노렸고, 이후 두 번의 승격을 거쳐 2011년 러시아 퍼스트 디비전에 복귀했다.
2013-14 시즌, 토르페도는 러시아 내셔널 풋볼 리그 3위를 기록하며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 크릴리아 소베토프 사마라를 꺾고 8년 만에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했다. 그러나 2014-15 시즌에 다시 강등되었고, 자금 부족으로 인해 2015-16 시즌에는 3부 리그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2017년, 러시아 억만장자 로만 아브데예프가 토르페도의 새로운 소유주가 되었다. 2018-19 시즌, 토르페도는 러시아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에서 우승하며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2부 리그)로 승격했다. 2021-22 시즌에는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에서 우승하며 2022년 5월 21일, 16년 만에 프리미어 리그 복귀를 확정지었다.[5] 하지만 2022-23 시즌, 최상위 리그에서 한 시즌 만에 다시 강등되었다.[1]
1960년 9월 2일에는 일본 국가대표팀과 토르페도 모스크바의 첫 경기가 당시 소련 모스크바에서 열렸는데, 토르페도 모스크바가 8-0으로 완승을 거두었다.
토르페도의 팬들은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팬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토르페도의 라이벌은 로코모티브 모스크바, CSKA 모스크바, 디나모 모스크바 등 다른 모스크바 클럽들과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이다. 일부 팬들은 경기 중이나 경기 외적으로 극우 상징과 현수막 (예: 켈트 십자가, 스와스티카)을 사용한 사례가 여러 차례 언론에 부정적으로 보도되었다.[6][7]
2. 2. 명칭 변경
- 1930년–1932년: '''AMO''' (아브토모빌노예 모스콥스코예 옵셰스트보)
- 1933년–1936년: '''ZIS''' (자보트 이메니 스탈리나)
- 1936년–1996년 7월: '''토르페도 모스크바'''
- 1996년 8월–1998년: '''토르페도-루즈니키'''
- 1998년–현재: '''토르페도 모스크바'''
3. 경기장
에두아르드 스트렐초프 스타디움은 현재 로만 아브데예프 소유이며, 2021년에 재건 공사가 시작되었다. 완공 시 수용 인원은 15,000명(전석 지정석)이 될 예정이다.[4] 1996년부터 2009년까지는 루즈니키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3]
4. 라이벌
FC 토르페도 모스크바의 주요 라이벌은 다음과 같다.
-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스파르타크 팬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 FC 로코모티브 모스크바, FC CSKA 모스크바, FC 디나모 모스크바: 모스크바 더비
-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5. 유니폼
FC 토르페도 모스크바는 "흑백"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유니폼 색상과 관련이 있다.
5. 1. 역대 유니폼
다음은 FC 토르페도 모스크바의 역대 유니폼에 대한 정보이다.시즌 | 제조사 | 스폰서 |
---|---|---|
1998 | 푸마 | ЗИЛ|질ru |
1999 | 푸마 | ЗИЛ|질ru |
2000 | 엄브로 | Лужники|루즈니키ru |
2001 | 엄브로 | Лужники|루즈니키ru |
2002 | 엄브로 | Лужники|루즈니키ru |
2003 | 엄브로 | Лужники|루즈니키ru |
2004 | 엄브로 | МТУ-Связь|MTU-스뱌지ru |
2005 | 엄브로 | МТУ-Связь|MTU-스뱌지ru |
2006 | 엄브로 | МТУ-Связь|MTU-스뱌지ru |
2007 | 엄브로 | 없음 |
2008 | 엄브로 | 없음 |
2009 | 엄브로 | СК Росгосстрах|SK 로스고스트라흐ru |
2010 | 엄브로 | Завод им. И.А.Лихачева|I.A. 리하체바 공장ru |
2011–12 | 아디다스 | OPK Oboronprom|OPK 오보론프롬ru |
2012–13 | 아디다스 | OPK Oboronprom|OPK 오보론프롬ru |
2013–14 | 아디다스 | OPK Oboronprom|OPK 오보론프롬ru |
2014–15 | 아디다스 | Группа компаний ПИК|그룹 콤파니 PIKru |
2015–16 | 아디다스 | Группа компаний ПИК|그룹 콤파니 PIKru |
2016–17 | 아디다스 | Группа компаний ПИК|그룹 콤파니 PIKru |
2017–18 | 나이키 | Инград|인그라드ru |
2018–19 | 나이키 | Инград|인그라드ru |
2019–20 | 나이키 | Инград|인그라드ru, Концерн РОССИУМ|콘체른 로시움ru |
2020–21 | 나이키 | Инград|인그라드ru, Концерн РОССИУМ|콘체른 로시움ru |
2021–22 | 조마 | Тинькофф|틴코프ru, Концерн РОССИУМ|콘체른 로시움ru |
2022–23 | 조마 | Тинькофф|틴코프ru, Концерн РОССИУМ|콘체른 로시움ru, ГК «Инград»|GK "인그라드"ru |
2023–24 | 와일드베리즈 | Winline|윈라인ru |
5. 2. 유니폼 스폰서
기간 | 유니폼 제작사 | 메인 스폰서 |
---|---|---|
1996 | 푸마 | ZIL |
1997–1998 | 엄브로 | ZIL |
1999 | 리복 | LUZHNIKI |
2000–2002 | 엄브로 | LUZHNIKI |
2003 | 디아도라 | ZIL |
2004 | 엄브로 | ZIL |
2005 | 로또 스포츠 | MTU-Intel |
2006–2008 | 엄브로 | 없음 |
2009–2011 | 엄브로 | ZIL |
2011–2012 | 아디다스 | OPK Oboronprom |
2012–2013 | 아디다스 | SU-155 |
2013–2014 | 아디다스 | ZIL |
2014–2015 | 아디다스 | Region-Glavproduct |
2015–2016 | 아디다스 | 아브토바즈 |
2016–2017 | 아디다스 | 없음 |
2017–2019 | 아디다스 | Ingrad |
2019–2020 | 나이키 | Ingrad |
2020– | 조마 | Ingrad |
6. 선수단
2024년 9월 12일 기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현재 선수 명단'''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2 | DF | 유리 콜레딘 (Yuri Koledin) | |
3 | DF | 알렉산드르 이반코프 (Aleksandr Ivankov) | |
4 | DF | 세르게이 보로딘 (Sergei Borodin, 1999년생) | |
7 | FW | 아르샤크 코리안 (Arshak Koryan) | |
9 | FW | 막심 막시모프 (Maksim Maksimov) | |
11 | MF | 다닐 샴킨(Daniil Shamkin) | |
12 | GK | 예고르 바부린 (Yegor Baburin) | |
15 | DF | 예고르 다닐킨 (Yegor Danilkin) | |
17 | MF | 이고르 고르부노프 (Igor Gorbunov) | |
18 | MF | 아르툠 소콜로프 (Artyom Sokolov) | |
19 | DF | 루슬란 바이투코프 (Ruslan Baytukov) | |
20 | MF | 마마두 카마라 (Mamadou Camara, 2001년생) | |
22 | MF | 블라디슬라프 갈킨 (Vladislav Galkin) | |
25 | DF | 이반 쿠즈미치요프 (Ivan Kuzmichyov) | |
27 | MF | 알렉산드르 오레호프 (Aleksandr Orekhov, 2002년생) | |
32 | FW | 비야체슬라프 후도클리노프 (Vyacheslav Khudoklinov) | |
38 | FW | 알렉산드르 추파요프 (Aleksandr Chupayov) | |
51 | GK | 비탈리 보트나르 (Vitali Botnar) | |
52 | MF | 라빌 네트풀린 (Ravil Netfullin) | |
58 | MF | 막심 미슈틴 (Maksim Mishutin) | |
69 | MF | 이라클리 마넬로프 (Irakli Manelov) | |
71 | DF | 이슬람잔 나시로프(Islamzhan Nasyrov) | |
74 | GK | 미하일 볼코프 (Mikhail Volkov) | |
77 | MF | 비탈리 시토프 (Vitali Shitov) | |
81 | MF | 블라디슬라프 빌겔름 (Vladislav Vilgelm) | |
86 | DF | 옐리세이 멜니코프 (Yelisei Melnikov) | |
87 | MF | 안드레이 코스틴 (Andrei Kostin) | |
89 | FW | 루슬란 체르뱌코프 (Ruslan Chervyakov) | |
90 | DF | 보얀 로가노비치 (Bojan Roganović) | |
97 | MF | 마리오 추리치 (Mario Ćurić) | |
99 | DF | 글레브 셰브첸코 (Gleb Shevchenko) |
'''임대 선수'''
포지션 | 국가 | 이름 | 임대 구단 |
---|---|---|---|
DF | 니키타 칼루긴(Nikita Kalugin) | 티우멘 | |
MF | 알렉산드르 구즈(Aleksandr Guz) | 소콜 사라토프 | |
MF | 블라디미르 모스크비치요프(Vladimir Moskvichyov) | 아크론 톨리야티 | |
MF | 네네 갬블레(Néné Gbamblé) | 신니크 야로슬라블 | |
FW | 요르디 레이나(Yordy Reyna) | 로디나 모스크바 |
'''유명 선수'''
FC 토르페도 모스크바에서 선수 생활을 했던 주요 선수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소련/러시아 | |||
---|---|---|---|
구 소련 국가 | |||
유럽 | |||
남아메리카 | |||
아프리카 | |||
아시아 & 오세아니아 | |||
''전체 목록은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선수에서 확인하십시오.''
6. 1. 현재 선수 명단
https://fnl.pro/melbet/team/22 러시아 퍼스트 리그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2024년 9월 12일 기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2 | DF | 유리 콜레딘 (Yuri Koledin) | |
3 | DF | 알렉산드르 이반코프 (Aleksandr Ivankov) | |
4 | DF | 세르게이 보로딘 (Sergei Borodin, 1999년생) | |
7 | FW | 아르샤크 코리안 (Arshak Koryan) | |
9 | FW | 막심 막시모프 (Maksim Maksimov) | |
11 | MF | 다닐 샴킨(Daniil Shamkin) | |
12 | GK | 예고르 바부린 (Yegor Baburin) | |
15 | DF | 예고르 다닐킨 (Yegor Danilkin) | |
17 | MF | 이고르 고르부노프 (Igor Gorbunov) | |
18 | MF | 아르툠 소콜로프 (Artyom Sokolov) | |
19 | DF | 루슬란 바이투코프 (Ruslan Baytukov) | |
20 | MF | 마마두 카마라 (Mamadou Camara, 2001년생) | |
22 | MF | 블라디슬라프 갈킨 (Vladislav Galkin) | |
25 | DF | 이반 쿠즈미치요프 (Ivan Kuzmichyov) | |
27 | MF | 알렉산드르 오레호프 (Aleksandr Orekhov, 2002년생) | |
32 | FW | 비야체슬라프 후도클리노프 (Vyacheslav Khudoklinov) | |
38 | FW | 알렉산드르 추파요프 (Aleksandr Chupayov) | |
51 | GK | 비탈리 보트나르 (Vitali Botnar) | |
52 | MF | 라빌 네트풀린 (Ravil Netfullin) | |
58 | MF | 막심 미슈틴 (Maksim Mishutin) | |
69 | MF | 이라클리 마넬로프 (Irakli Manelov) | |
71 | DF | 이슬람잔 나시로프(Islamzhan Nasyrov) | |
74 | GK | 미하일 볼코프 (Mikhail Volkov) | |
77 | MF | 비탈리 시토프 (Vitali Shitov) | |
81 | MF | 블라디슬라프 빌겔름 (Vladislav Vilgelm) | |
86 | DF | 옐리세이 멜니코프 (Yelisei Melnikov) | |
87 | MF | 안드레이 코스틴 (Andrei Kostin) | |
89 | FW | 루슬란 체르뱌코프 (Ruslan Chervyakov) | |
90 | DF | 보얀 로가노비치 (Bojan Roganović) | |
97 | MF | 마리오 추리치 (Mario Ćurić) | |
99 | DF | 글레브 셰브첸코 (Gleb Shevchenko) |
6. 2. 임대 선수
포지션 | 국가 | 이름 | 임대 구단 |
---|---|---|---|
DF | 니키타 칼루긴(Nikita Kalugin) | 티우멘 | |
MF | 알렉산드르 구즈(Aleksandr Guz) | 소콜 사라토프 | |
MF | 블라디미르 모스크비치요프(Vladimir Moskvichyov) | 아크론 톨리야티 | |
MF | 네네 갬블레(Néné Gbamblé) | 신니크 야로슬라블 | |
FW | 요르디 레이나(Yordy Reyna) | 로디나 모스크바 |
다음은 2025년 6월 30일까지 다른 팀으로 임대된 선수들이다.
6. 3. 유명 선수
다음은 FC 토르페도 모스크바에서 선수 생활을 했던 선수들의 목록이다.'''굵은 글씨'''는 토르페도 모스크바에서 활약하며 자국 대표팀에 발탁된 경우이다.
소련/러시아 | |||
---|---|---|---|
구 소련 국가 | |||
유럽 | |||
남아메리카 | |||
아프리카 | |||
아시아 & 오세아니아 | |||
''전체 목록은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선수에서 확인하십시오.''
7. 기록
FC 토르페도 모스크바의 주요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최다 출장 기록:''' 빅토르 슈스티코프 (1958–1972, 427경기)
- '''최다 득점 기록:''' 발렌틴 이바노프 (1953–1966, 124골)
7. 1. 최다 출장 기록
# | 선수명 | 활동 기간 | 출전 경기 수 |
---|---|---|---|
1 | 빅토르 슈스티코프 Виктор Шустиков|빅토르 슈스티코프ru | 1958–72 | 427 |
2 | 세르게이 프리고다 Сергей Пригода|세르게이 프리고다ru | 1976–88 | 325 |
3 | 알렉산드르 폴루카로프 Александр Полукаров|알렉산드르 폴루카로프ru | 1980–91 | 319 |
4 | 블라디미르 유린 Владимир Юрин|블라디미르 유린ru | 1970–80 | 304 |
5 | 발렌틴 이바노프 Валентин Иванов|발렌틴 이바노프ru | 1953–66 | 286 |
6 | 세르게이 페트렌코 Сергей Петренко|세르게이 페트렌코ru | 1974–85 | 276 |
7 | 레오니드 파호모프 Леонид Пахомов|레오니드 파호모프ru | 1967–76 | 261 |
8 | 바실리 주피코프 Василий Жупиков|바실리 주피코프ru | 1977–85 | 255 |
9 | 빅토르 크루글로프 Виктор Круглов|빅토르 크루글로프ru | 1975–81, 1984–86 | 231 |
10 | 블라디미르 부투를라킨 Владимир Бутурлакин|블라디미르 부투를라킨ru | 1970, 1972–80 | 226 |
[1] 2007년 4월 20일 경기 기준이며 공식 웹사이트를 참고했다.
7. 2. 최다 득점 기록
순위 | 선수명 | 활동 기간 | 득점 수 |
---|---|---|---|
1 | 발렌틴 이바노프|Valentin Ivanovru | 1953–1966 | 124 |
2 | 에두아르트 스트렐초프|Eduard Streltsovru | 1954–1958, 1965–1970 | 100 |
3 | 알렉산드르 포노마료프|Aleksandr Ponomaryovru | 1945–1950 | 83 |
4 | 게나디 구사로프|Gennadiy Gusarovru | 1957–1962 | 67 |
5 | 게오르기 즈하르코프|Georgiy Zharkovru | 1939–1940, 1945–1951 | 63 |
6 | 표트르 페트로프|Pyotr Petrovru | 1938–1940, 1945–1949 | 54 |
7 | 이고르 셈쇼프|Igor Semshovru | 1998–2005 | 54 |
8 | 유리 사비체프|Yuri Savichevru | 1985–1990 | 47 |
9 | 니콜라이 바실리예프|Nikolai Vasilyevru | 1976–1985 | 45 |
10 | 올레그 세르게예프|Oleg Sergeevru | 1958–1966 | 43 |
8. 코칭 스태프
직책 | 이름 | 국적 |
---|---|---|
감독 | 올레그 코노노프 | |
수석 코치 | 비탈리 야츠코 | |
트레이너 | 파벨 키릴치크 | |
골키퍼 코치 | 이고르 텔코프 | |
수석 피지컬 트레이너 | 라밀 샤리포프 | |
피지컬 트레이너 | 드미트리 고리야이노프 | |
피지컬 트레이너 | 아르툠 고리야이노프 | |
분석관 | 이고르 스테베네프 | |
팀 감독관 | 발레리 스코로두모프 | |
관리자 | 알렉산드르 페트로프 | |
관리자 | 알렉산드르 니콜라예프 | |
관리자 | 아르툠 안드레예프 | |
수석 의사 | 키릴 이바노프 | |
의사 | 얀 고베다슈빌리 | |
물리치료사 | 알렉세이 자보고르드니 | |
재활 물리치료사 | 일리아 나바치코프 | |
마사지사 | 알렉산드르 크라실니코프 | |
마사지사 | 스쩨프코 슈크레블린 | |
팀 운영자 | 안드레이 셰르스토비토프 |
9. 역대 감독
굴락에서 사망
7월 교체
토르페도에서 66경기 출전, 1골 기록
8월 교체
7월 교체
10월 교체
세 번째 소련 컵 우승 (디나모 트빌리시 4–3 연장전 승리),
두 번의 준우승 (소련 최고 리그),
두 번의 소련 컵 준우승
구단 직원 (1959–94, 중단 기간 있음)
4월 교체
준우승 (소련 최고 리그),
소련 컵 준우승 (디나모 키예프 0–2)
1981년, 1988–92년 청소년 학교 감독
준우승 (소련 최고 리그)
동메달 (소련 최고 리그),
소련 컵 준우승 (디나모 모스크바 0–1)
동메달 (소련 최고 리그),
네 번의 소련 컵 준우승
7월 교체
토르페도-질 (이후) 감독
8월 교체
11월 교체
7월 교체